본문 바로가기
건강

결핵 원인, 감염경로, 증상, 진단, 검사, 예방, 치료

by 1gram씩 저장하기
반응형

 

결핵이란?

tuberculosis

 

- 호흡기를 통한 감염

- 감염이 장기적으로 서서히 진행되거나 유지

- 폐결핵 : 폐에서 결핵이 발병

- 폐외결핵: 폐를 제외한 림프절, 뇌 수막 등에서 발생

 

원인, 감염경로?

- 폐결핵 환자의 기침, 침방울 등을 통하여 전파

- 밀폐된 실내에서 더 감염이 쉽게 되며 야외에서는 잘 전염되지 않음

- 결핵 환자와 접촉한 30%가 감염되고 30%중에서 10%만이 결핵 증상 발병

증상은?

- 처음 감염: 무증상이거나 발열 발생, 숨을 쉴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남

- 재감염: 기침, 체중 감소, 무력감, 발열

- 폐에도 영향을 미치면 호흡 곤란, 객혈(기침할 때 피가 나오는 현상) 발생

 

진단 , 검사

- 결핵 피부 반응 검사

  -> 싸고 간편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짐

  -> 투베르쿨린 물질을 피부에 주사하고 2~3일 안에 10mm이상 피부가 부풀면 감염 가능성 판단

 

- 인터페론감마검사

 -> 혈액을 통해 검사하며 빠른 시간안에 정확하게 판단

 

- 흉부 X선 검사

 -> 가장 기본적인 결핵 검사 방법

 

- 흉부 CR 검사

 -> 흉부 X선의 약점을 보완

 -> 작은 크기의 폐 병면 관찰 가능

 

예방

- 결핵 발병 예방: BCG 예방 접종, 잠복 결핵 감염 치료

 

- 결핵 감염 예방: 손 씻기, 기침시 입을 가리며 일회용 티슈로 닦기

 

치료

- 일반적으로 6개월 치료 진행

- 항결핵제 투여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