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핵이란?
tuberculosis
- 호흡기를 통한 감염
- 감염이 장기적으로 서서히 진행되거나 유지
- 폐결핵 : 폐에서 결핵이 발병
- 폐외결핵: 폐를 제외한 림프절, 뇌 수막 등에서 발생
원인, 감염경로?
- 폐결핵 환자의 기침, 침방울 등을 통하여 전파
- 밀폐된 실내에서 더 감염이 쉽게 되며 야외에서는 잘 전염되지 않음
- 결핵 환자와 접촉한 30%가 감염되고 30%중에서 10%만이 결핵 증상 발병
증상은?
- 처음 감염: 무증상이거나 발열 발생, 숨을 쉴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남
- 재감염: 기침, 체중 감소, 무력감, 발열
- 폐에도 영향을 미치면 호흡 곤란, 객혈(기침할 때 피가 나오는 현상) 발생
진단 , 검사
- 결핵 피부 반응 검사
-> 싸고 간편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짐
-> 투베르쿨린 물질을 피부에 주사하고 2~3일 안에 10mm이상 피부가 부풀면 감염 가능성 판단
- 인터페론감마검사
-> 혈액을 통해 검사하며 빠른 시간안에 정확하게 판단
- 흉부 X선 검사
-> 가장 기본적인 결핵 검사 방법
- 흉부 CR 검사
-> 흉부 X선의 약점을 보완
-> 작은 크기의 폐 병면 관찰 가능
예방
- 결핵 발병 예방: BCG 예방 접종, 잠복 결핵 감염 치료
- 결핵 감염 예방: 손 씻기, 기침시 입을 가리며 일회용 티슈로 닦기
치료
- 일반적으로 6개월 치료 진행
- 항결핵제 투여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막이식이란? 수술 방법, 관리, 안구 기증 (0) | 2021.12.17 |
---|---|
아이를 위협하는 가와사끼병이란? (0) | 2021.12.17 |
당뇨병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예방 방법 (0) | 2021.05.09 |
공황장애 원인, 증상, 치료 방법 (0) | 2021.05.06 |
폐렴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예방 방법 (0) | 2021.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