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구조와 역할은?
- 간은 좌,우 두 개의 간엽으로 구성
- 좌, 우 간엽은 각각 10만개 정도의 간소엽으로 구성
- 간에서 생성되는 담즙은 담낭에 저장했다가 음식을 먹으면 총담관을 통해서 십이지장으로 배출
- 간의 주요 기능
--> 1. 단백질, 당, 비타민, 지방 등의 영양분 처리
--> 2. 담즙을 담낭에 보관했다가 지방, 지용성 비타민 음식을 먹게되면 담즙을 통해서 지방 소화
--> 3. 알코올, 암모니아, 니코틴, 약 등 인체에 들어오는 독소를 제거하거나 독성 물질을 중화
--> 4. 혈액 기능을 유지 / 보수
간경변증이란?
liver cirrhosis
- 바이러스, 음주, 비만, 약물 등으로 인하여 간세포가 조직이 딱딱한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는 병
- 섬휴화가 진행되면 부드러웠던 간이 딱딱해지는 "간경변증"으로 됨
원인은?
1. 만성 간염
--> B형 간염, C형 간염으로 인하여 간경변증이 많이 발생
간염 기간이 길수록 간염의 바이러스가 간세포에 손상을 많이 주기 때문에 간경변증으로 악화될 위험도 증가
2. 음주
--> 술의 알코올은 간에서 아세트 알데하이드와 같은 독성물질이 되어 간세포에 손상을 줌
손상을 입은 간은 지방산을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져 지방이 계속 간에 쌓이게 되어 간경변증으로 악화
3. 비알코올성 지방간
--> 비만 등으로 인하여 지방이 간에 축적되고 간의 지방분해능력이 저하되어 강경변증으로 악화
4. 자가면역질환
--> 자가면역성 간염, 원발성 담관성 간경변증
--> 손상된 면역계가 자신의 간을 공격
5. 혈색소 침착증
--> 간에 과량의 철이 침착
증상은?
- 초기
--> 만성 피로, 어두운 얼굴색, 입맛이 떨어짐, 구역질, 손바닥 홍반
- 후기
--> 눈, 피부 황달 발생
--> 남성은 여성처럼 유방이 커지거나 고환이 작아짐
--> 여성은 생리가 불규칙하게 변함
합병증은?
- 문맥 고혈압
--> 문맥에 피가 천천히 흐르게 되면서 간문맥을 통해 피가 역류하여 고혈압 발생
문맥 고혈압의 영향은 다양하고 심각한데 정맥류 출혈, 복수 등의 합병증 유발
- 간성뇌증(간성혼수)
--> 기역력이 나빠지고 반응이 느리며 집중력이 저하됨
말기에는 헛것을 보거나 혼수상태, 사망까지 이를 수 있음
- 세균성 복박염
--> 간경변증 환자에게는 세균성 복막염이 유발될 수도 있는데 50~90% 확률로 치유 가능
하지만 1년 내 재발 확률 : 40~70%
1~2년 생존율: 20~30 % 로 악화됨
- 내분비계 합병증
--> 간경변증 환자의 30%에서 골다공증 발생 가능성 높아짐
인슐린 저항성으로 당뇨병 발생 가능성 높아짐
- 간암
진단
- 근위축, 거미 혈관종, 손바닥 홍반 증상 확인
- 남자의 경우 가슴, 복부에서 떨이 빠질 수 있으며 가슴이 커지거나 고환이 작아지는 현상
- 혈액 검사
- 조직 검사
- 영상 검사
- 내시경
치료
- 간경변증이 발생하면 원래의 간으로 회복되는게 거의 불가능
- 치료를 통해서 더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
- 간이식
- B형, C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증은 약물 치료 사용
- 알코올에 의한 간경변증은 금주를 진행하며 영양섭취 강화를 위해 노력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C형간염 정의, 증상, 치료, 예방 정보 (0) | 2021.12.20 |
---|---|
간농양이란?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0) | 2021.12.19 |
각막이식이란? 수술 방법, 관리, 안구 기증 (0) | 2021.12.17 |
아이를 위협하는 가와사끼병이란? (0) | 2021.12.17 |
결핵 원인, 감염경로, 증상, 진단, 검사, 예방, 치료 (0) | 2021.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