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양성종양
- 양성 종양의 종류: 간혈관종, 간선종, 간낭종, 국소성 결절 과형성, 담관낭선종
- 악성 종양과는 다르게 증상이 없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주로 건강검진에서 발견됨
간혈관종
Liver hemangioma
- 모든 나이에서 발생하지만 20~40대에 흔하게 발생
- 대부분이 무증상
-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복통, 구토, 조기 포만감 등 발생
- 대부분이 무증상이기 때문에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 합병증이 없다면 따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음
간선종
Hepatocellular adenoma
- 피임약과 연관성이 높아 20~30대 가임기 여성에게 주로 발생
- 대부분 무증상
- 간 우엽에 주로 발생
- 복부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간동맥조영술 등으러 검사
- 간선종은 파열될 가능성이 있고 악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절제가 필요
- 간선종이 있다면 경구용 피임약 복용 금지
간낭종
Hepatic cyst
- 모든 나이에서 발생 가능
- 간 안에 생기는 물혹
- 대부분이 단발성으로 생기지만 다발성으로 생긴다면 신장에도 생길 수 있음
- 대부분 무증상이나 복부 팽만, 우상복부 동통의 증상이 있을 수 있음
-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 출혈 및 감염과 같은 합병증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하지 않음
간낭종
Focal nodular hyperplasia
-모든 나이에 발생가능하나 20~40대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
- 75% 정도가 무증상
- 증상이 있는 경우의 50% 정도는 경구용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
- 초음파 검사로는 간선종, 간세포암종인지 구분이 어려움
- 간 조직검사로 정확히 판단 가능
- 간 내 종괴와 구분이 어렵다면 치료 목적으로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수도 있음
담관낭선종
Biliary cystadenoma
- 주로 40~50대의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는것으로 알려짐
- 대부분 무증상이나 우상복부, 복부 둘레 증가, 황달, 낭종 파열 증상이 있을 수 있음
- 혈액검사로는 대부분 정상으로 판단됨
- 복부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로 진단 가능
- 악성 종양으로 발전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절제가 필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질(뇌전증)이란? 증상, 원인, 진단, 약 복용, 주의사항, 임신 (0) | 2021.12.30 |
---|---|
간이식 대상, 검사, 기증자 선별, 뇌사자 간이식, 수술, 관리 (0) | 2021.12.27 |
B형간염, C형간염 정의, 증상, 치료, 예방 정보 (0) | 2021.12.20 |
간농양이란?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0) | 2021.12.19 |
간경변증이란?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 치료 (0) | 2021.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