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간이식 대상, 검사, 기증자 선별, 뇌사자 간이식, 수술, 관리

by 1gram씩 저장하기
반응형

간의 기능

- 간은 자신의 몸무게의 약 2% 정도의 무게(약 1~1.5kg)

- 간에 영양분이 들어오면 각 장기에 필요한 성분으로 만들어 보내주고 남는 영양분은 간에 축적

- 담즙을 생산하여 지방 흡수를 도움

- 해로운 물질(술, 약 등)의 독성을 해독하는 역할

 

간이식 대상
liver transplantation

- 내과/외과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고 진행성으로 병이 진행되는 환자

 

- 말기 간질환

-->간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여러 합병증이 생기는 간질환 상태

-->간경화가 계속 진행되면 간조직 손상, 염증세포가 침입하여 섬유화 진행

-->간이 딱딱해지고 정상의 간으로 돌아갈 수 없음

 

- 급성 간기능 부전

--> B형,C형 간염, 약물, 독성 물질성 간염(독버섯, 한약, 결핵약) 등으로 인하여 급성 간기능 부전이 발생

--> 내과적 치료로도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치사율이 높아 간이식이 필요

 

- 간암

--> 간암은 수술을 통해서 절제가 좋지만 간의 상태가 안좋으면 절제 진행이 어려움

--> 절제가 어려운 경우 경피적 에탄올 주입, 경동맥 화학 색전술 등을 활용

--> 위 치료법으로도 치료가 불가능하고 간경화도 진행되고 있다면 간이식 진행

                  

간이식 수혜자 검사

-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 검사

- 복부CT, MRI, 도플러초음파 등의 검사로 간에 종양이 존재하는지 확인

- 위암, 유방암, 대장암 등의 다른 암에 대해서도 검사 진행

- 간이식 수술은 심장에 무리를 많이 주기 때문에 심혈관계 검사 진행

- 수술을 진행하면서 저혈압, 부정맥이 생길 수 있으며 부정맥은 악화될 가능성도 있음

간이식 기증자 검사

- 국내 80%가 생체 간이식 진행

- 생체 기증은 혈연 기증자와 비혈연 기증자로 분리

- 비혈연 기증자는 도덕적,사회적으로 간이식 대상자와 합리적인 관계여야지 기증 허용

- 기증자의 자의적인 기증의사를 확인하면 혈액검사를 1차로 진행

- 2차로는 간 CT, MRI 검사, 간의 크기 측정 등 진행

- 3차로는 경피적 간 조직검사로 지방간 여부 확인

 

- 혈액형 확인

--> 간이식 수혜자의 피가 O형인 경우: O형 기증자만 가능

--> 간이식 수혜자의 피가 A형인 경우: A,O형 기증자만 가능

--> 간이식 수혜자의 피가 B형인 경우: B,O형 기증자만 가능

--> 간이식 수혜자의 피가 AB형인 경우: 모두(A,B,O,AB) 가능

 

- 수혜자, 기능자의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간이식 시도 가능

--> 소아는 결과가 양호

--> 성인은 혈핵형항체를 줄이는 처치를 진행하고 이식을 진행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음

뇌사자의 간이식

- 1년에 뇌사 장기기증자는 약 250명이나 약 4,000명 이상이 뇌사장기기증을 대기

- 뇌사자의 간이식을 받기는 쉽지 않음

 

- 뇌사자의 간이식을 받을 수혜자는 종합적인 점수를 매겨 높은 점수를 얻어야 이식 가능

- 주요 항목 점수

--> 이식대기자 나이

--> 이식대기자 과거 장기 기증 여부

--> 배우자, 형제, 4촌 친척 중 뇌사자 장기기증 여부

--> 혈액형 동일 여부 등

간이식 수술

- 뇌사자 간이식 방법

--> 간 전체 이식

--> 간의 일부를 1명에게 이식하는 축소간이식

--> 간을 나눠 2명에게 이식하는 불한갈이식

 

- 생체 간이식 방법

--> 우엽이식

--> 좌엽이식

--> 부분간절편 2:1 이식

 

- 생체 간이식은 수술날짜 전에 미리 준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효과가 좋음

- 간 기증자는 간을 절제하는 큰 수술을 진행해야 되서 기증자에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

간이식 후 관리

- 신선한 야채, 과일은 3개월정도는 피하는게 좋음

- 생선회, 육회는 기생충을 포함할 수 있어 6~12개월 정도는 섭취를 피해야함

- 버섯, 한약, 녹즙, 술 절대 금지

- 면역억제제 매일 동일한 시간 복용

- 고혈압 관리

- 고지혈증 관리

- 당뇨 관리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