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위암이란? 원인, 예방법, 조기검진, 증상, 진단, 치료, 부작용, 재발

by 1gram씩 저장하기
반응형

위암이란 우리 몸의 소화기관 중 위(위치: 배 윗부분 왼쪽 갈비뼈 아래와 명치부분)에서 발생하는 암을 말합니다.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하는 위선암이 있지만,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 간질세포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 비상피성 세포에서 유래하는 악성 종양, 그리고 신경내분비암 등이 있습니다.

원인

위암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생합니다.

 

환경 요인으로는 식습관, 흡연, 음주 등이 있고, 개체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이 있습니다.

 

또한 헬리코박터 감염, 장상피화생, 위수술 과거력 등이 위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예방법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고, 고짠 음식, 탄 고기, 훈제된 음식은 가능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흡연자는 위암에 걸릴 확률이 비흡연자보다 높으므로 금연하세요. 음주를 금주하세요.

조기검진

위암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입니다. 40세 이상~74세 미만의 남녀는 2년 간격으로 최소한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위암의 전구 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좀 더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위암은 대부분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쉽게 알아차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진행될수록 속 쓰림, 메스꺼움, 구토, 복통, 어지러움, 설사, 음식물 삼키기 힘듦, 체중 감소, 피로, 흑색 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

위암은 위내시경검사 및 CT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 후, 복부 CT검사로 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만약 필요하다면, 추가 검사로서 내시경초음파검사, 흉부 CT검사, MRI, PET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

위암 치료는 위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내시경절제술, 수술, 항암치료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조기 위암의 경우 내시경절제술, 진행성 위암은 수술, 원격전이가 있는 전이성 위암은 항암치료를 합니다.

 

위암 수술 후에는 약 10-15%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복강내 출혈, 문합부 출혈, 농양, 상처 감염 등이 주요 합병증입니다.

 

수술 후에는 설사, 빈맥, 저혈당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철분, 칼슘, 비타민 부족 등의 영향 결핍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은 약물의 종류와 투여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재발, 전이

위암 수술 후 재발의 확률은 위암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조기 위암의 경우 5%~10%의 낮은 확률이지만, 진행성 위암은 40%~70%의 확률로 재발합니다.

 

그래서 수술 후 5년간 정기적으로 재발 여부를 검사해야 합니다.

 

재발한 환자는 재발 양상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지만, 대부분은 전신전이 형태로 재발되어 재발성 위암의 수술적 치료는 드문 편이며, 주로 항암치료를 하게 됩니다.

 

 

댓글


loading